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근로장려금 지급일 확인, 지급 후기

by suxxeon 2025. 8. 24.
반응형

 

 

근로장려금은 소득이 적은 근로자나 사업자를 지원하기 위해 매년 정부에서 지원하는 제도로, 많은 분들이 매년 지급일, 지급 확인 방법을 궁금해하시는데요.

 

저도 매년 근로장려금을 받아왔던 터라, 이번 글은 제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해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 근로장려금 지급일 확인 방법, 신청 방법, 그리고 실제 지급 후기까지 정리해봤습니다. 궁금했던 부분을 쉽게 확인하시고, 올해 근로장려금을 놓치지 않고 챙기실 수 있길 바랍니다.

 

 

 

1) 2025 근로장려금 지급일 확인 방법

 

근로장려금 지급일과 지급 여부를 직접 확인해볼 수 있는데요. 확인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가장 많이 쓰는 건 홈택스(PC), 손택스(모바일 앱), 그리고 ARS 입니다.

  • 홈택스(PC)
    1. 홈택스 로그인
    2. [My 홈택스] → [조회/발급] → [근로·자녀 장려금] → [심사진행현황]
    3. 지급 예정일, 지급액, 지급 여부 확인 가능
  • 손택스(모바일 앱)
    1. 손택스 앱 실행 후 로그인
    2. 근로, 자녀 장려금 메뉴 선택
    3. [지급 결과 조회]에서 지급일과 금액 확인 가능
  • ARS 전화
    국세청 ARS 1544-9944

저도 2025 근로장려금을 신청을 해둔 상태여서 홈택스 앱에서 지급일을 확인해보았습니다. 

 

홈택스에 들어가서 [근로, 자녀장려금 정기 신청] [심사 진행상황 조회]를 클릭합니다.

 

 

현재 제가 들어가보니 아직 심사중으로 뜨네요. 제 경험상 지급일 당일 또는 하루 전, 지급일 이후에나 심사가 완료되었다고 뜨더라고요. 그래서 심사 결과는 지급 당일에 알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지급일은 그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2025년도는 8월 28일이 지급예정일이라고 뜨네요. 아마 8월 28일에 돈도 들어올 것 같습니다!

 

지급일까지 결과를 확실하게 알 수 없다는게 불안하실 수도 있는데 제 경험상 크게 걸리는 일이 없다면 지급예정일에 예상금액만큼 돈이 들어왔던 것 같아요.

 

 

2)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기한 후 신청)

근로장려금은 매년 정해진 기간에 정기 신청을 통해 진행돼요. 
홈택스(국세청 사이트)나 손택스(모바일 앱)을 이용해서 신청할 수 있고, 국세청에서 우편이나 문자로 안내를 받아 신청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혹시나 이 기간을 놓쳤다면 걱정하지 마세요.

'기한 후 신청' 제도가 있어서, 정기 신청 기간에 끝난 뒤에도 따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지급액의 90%만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참과셔야 합니다. 그래도 안 받는 것 보단 훨씬 이득이니 놓치지 말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기한 후 신청 방법 보러가기

 

근로장려금 기한 후 신청 대상, 방법, 지급일 확인

≣ 목차   2024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 근로장려금 정기신청 기간이였습니다. 혹시 기간 내 신청하지 못 하셔서 아쉬워 하시는 분들이 계신다면 기한 후 신청도 가능하니 오늘 글 잘 참고하셔서

suxxeon00.com

 

 

 

 

3) 근로장려금 지급 후기 (경험담)

저는 매년 근로장려금을 받아왔는데, 이번에도 8월 28일이 지급 예정일이라 떠서 아마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2025년 근로장려금도 지급 받게 된다면 후기 올리겠습니다.


⬇️제가 실제로 받은 지급 후기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2023 근로장려금 지급 후기

8월은 근로장려금 정기신청 지급달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3년 지급받은 근로장려금 (귀속 연도 2022년) 후기를 가지고 왔습니다.  글을 통해서 2024년 근로장려금 정기 지급일, 금액산정에 대해

suxxeon00.com

 

 

 

작년에는 8월 29일 오전 12시 56분에 들어왔네요 ㅎ 금액은 신청할 때 떴던 예상 지급 금액 그대로 들어왔습니다!

 

 

오늘은 근로장려금 지급일 확인 방법, 신청 방법(기한 후 신청), 지급 후기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생각보다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서 해당되시는 분들이라면 꼭 챙기시면 좋을 것 같아요.